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스크랩] 형충회합
    사주 2017. 11. 15. 12:32
     

    合이란 묶인다는 의미이다.

    묶이니까 안전하지만 답답함도 느낀다. 合이 되면 沖으로부터 보호받는다.

    合이 되면 묶여 답답하게 사용 못하지만 合이 된 것이 沖이되면 오히려 得을 하는 것이다.

    合은 沖으로 푸니까... 물론 合은 合으로도 푼다. 그러면 得한다.


    子丑合에서 午가 와서 子午沖이 되면 깨지지 않고 얻는 것이다.

    子丑合에서 丑이 오면 合은 合으로 푸니까 소득있다.

    沖으로 풀 때는 투쟁하듯이 매끄럽지 않게 풀고

    合으로 풀 때는 깔끔하고 매끄럽게 푼다. 그러나 답답함을 느낀다.


    ***************************


    沖은 깨진다. 박살난다. 충동질한다는 의미이다.

    있을 때 沖을 당하면 잃는 것이 되고

    없을 때 沖을 당하면 잃을 것이 없으므로 분발의 계기가 되어 새 출발한다.

    없는 사람은 바닥을 치고 도약의 계기가 되는 것이다.

    沖은 合으로 푼다.

    子午沖이라면 子 또는 丑이 와서 合이되면서 沖을 푸는 것이다.

    이렇게 沖이 풀리면 得한다.

    沖이되어 못 사용하는 것을 쓸 수 있게 된다.


    그러나 再沖은 안 좋다. 완전 박살나며 깨진다. 刑도 그렇다.

    유일한 오행이 沖이나 刑되고, 再沖, 再刑이 되면 큰일이다.

    그 再刑되는 육친은 간다.

    특히 백호, 동주사, 동주입묘의 再沖, 再刑은 신상에 곤고함이나 육체적으로 불미스러운 일이 일어난다.


    ********************************


    刑은 조정, 수술, 배신사를 의미한다.

    사주는 환경을 나타내므로 刑이 있으면 刑을 살든지, 刑을 집행하든지...

    刑도 再刑이 무섭다.

    沖은 붙어있어야 효력 있고, 떨어지면 효력 없지만

    刑은 한 칸 떨어져 있어도 효력 발생, 물론 약해지는 맛은 있지만...

    1차 刑은 得으로 보지만 再刑은 失이다.

    再刑일 때 再刑을 시키는 들어오는 글자는 得한다. 물론 희생을 감수하며 들어온다.

    들어오는 刑도 得하지만 힘들게 得한다는 것이다.



    *******************

    대운 세운에 적용법

    根苗花實에 의해 대운은 10년이니까 한 柱를 2.5년씩 대입하고

    허자는 글자를 생성한 地支의 가운데로 보면 된다.

    세운에 적용할 때는 12개월이니까 한 주에 3개월 정도로 보면 된다.

    虛字가 있으면 삶이 복잡 다단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백호, 입묘, 동주사 등은 대운을 먼저 잘 보고, 

    대운 언제 흉의나 좋은 징조가 일어날까 보고,

    그 대운의 세운과 겹치는 때 흉의나 길의가 발생하는 때이다.


    ***********************


    合은 合이나 沖으로 푼다.

    沖은 合으로 푼다.


    강도는 다음과 같다.

    3合≫6合, 6沖≫ 반合

    실자≫허자


    子午□巳 에

    丑이나 未가 오면 子丑合, 午未合이 되어 沖 풀린다.

    午년이 오면 巳午에 허자 未가 생긴다. 이 虛字 未는 실자와는 다르게

    子午沖 못 푼다. 오히려 子午沖을 흔들어 沖이 더욱 강화된다.

    허자보다 實字가 현실에서 더 우선


    결론 : 虛字는 沖이나 合을 풀지 못한다.


    * 1次 刑은 得이다.

    □□辛□

    여기에 巳오면 巳申刑으로 辛과 巳를 得한다.

    巳申刑은 이렇게 얻는데 寅申刑이 오면 얻는게 아니라 깨진다.

    그 이유는 寅申刑은 沖도 되기 때문이다. 丑未刑沖도 그렇다.

    그래서 刑과 沖이동시에 성립하는 寅申刑沖, 巳申刑沖은 得이 아니라 아픔만 커진다.


    辰戌沖은 丑未沖 보다 약하다.


    刑 寅巳刑, 巳申刑은 得 寅申沖刑은 깨지고...


    결론으로 丑未沖刑, 寅申沖刑은 깨진다. 심하게...


    1차刑은 得 그러나 2차刑 즉 再刑은 失


    □□술□ 丑이 오면 丑戌 모두 得이다. 1차刑은 得


    그러나

    □□丑戌은 이미 원국에 축술刑이 되어있다.

    이 때 운에서 戌오면 再刑으로 모두 die, 원국의 丑戌이 강화되는 것이다.

    그러나 들어오는 것은 즉 戌은 得한다.

    그냥 得하는게 아니고 시시비비 우여곡절 피곤하게 얻는 得이다.


    □戌丑子

    丑戌이 되어있는 여기에 亥년이 오면 虛字 丑이 생긴다. 그래서 再刑이 되는데

    허자는 시비 끝에 얻지만 기존의 刑沖은 깨진다. 失이다.


    원국 1차 刑이 있는 데 허자 刑이 오면 잃는다. 再刑은 實字든    虛字든 모두 깨어진다.

    實字가 더 확실하고 더 강렬하다. 허자의 강도가 再刑일 때 더 약하겠다.


    * 도沖은 得 이다.


    □□申□

    여기에 申이 도 오면 도沖 寅이 생긴다. 이 寅은 得, 그림자라도 본다.


    명식은 중화가 중요하다.

    부족한 오행을 더해주면 得, 부족한 오행을 깨뜨리면 실

    중화상 넘치는 과한 오행은 과유불급이라하는데

    깨지면 得이고 보태주면 失이다.





    출처 : 나이스사주명리
    글쓴이 : 나이스 원글보기
    메모 :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