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
-
[스크랩] 61) 풍택중부 (風澤中孚)주역 2018. 12. 16. 15:39
61) 풍택중부 (風澤中孚) 위 는 바람[風]이고, 아래는 연못[澤]이다. 중부(中孚)는 ‘어미 새가 알을 품어 따뜻하게 한다.’는 뜻이다. 가운데 두 음효는 노른자이고 바깥 양효는 흰자와 껍데기를 나타내니 알의 모양을 뜻한다. 상괘와 하괘가 입을 맞춘 듯 대칭을 이룬다. 한 몸으로 결합되어 마치 어미 새가 알을 품고 있는 상이므로, 중부(中孚)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연못위의 바람이다. 연못에 바람이 분다. 변화를 일으킨다. 연못은 알이고 바람은 어머니 기운이다. 닭이 알을 품고 있다. 중부(中孚)는 가운데 품고 있다는 뜻이다. 바람 밑의 연못은 뒤를 보지 말고 자신을 단속하라. 반성하라. 참고 기다리라. 참고 견디며 제자리를 지키며 영역을 넓혀가야 한다. 경거망동하지 마라. 연못이 바람을 따라 갈 수..
-
[스크랩] 60) 수택절 (水澤節)주역 2018. 12. 16. 15:38
60) 수택절 (水澤節) 위는 물[水]이고, 아래는 못[澤]이다. 절(節)은 ‘절도’, ‘규칙이나 제한’, ‘절약’을 뜻한다. 연못 위에 물이 가득하니 물이 많으면 넘치게 하고 모자라면 흐르지 못하게 한다. 절도(節度)를 뜻하는 절(節)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수택절(水澤節)이다. 물처럼 제 멋대로 인 것을 연못이라는 큰 그릇에 담았다. 연못에 물이 담겨있다. 위에는 물이고 아래는 연못 즉 그릇이다. 물이 그릇에 담겨있는 모습이다. 제대로 모양을 갖추었다. 절제된 행동, 집에 있는 아이, 정렬해있는 군인, 상자속의 사과, 단정한 옷차림이다. 어린 아이가 엄마 품에 있는 모습이다. 국민이 국토에 머무는 모습이고 새가 둥지에 있는 모습이다. 가족이 집에 있는 모습이다. 부모품의 어린아이이다. 그릇에 담긴 음..
-
[스크랩] 59) 풍수환 (風水渙)주역 2018. 12. 16. 15:38
59) 풍수환 (風水渙) 위 는 바람[風]이고, 아래는 물[水]이다. 환(渙)은 ‘흩어지다.’ ‘풀어지다.’라는 뜻이다. 물위에서 바람이 분다. 물이 바람에 날려 사방으로 흩어지므로, 환(渙)을 괘(卦) 이름으로 하였다. 겨우내 얼었던 물이 봄바람에 녹아 풀어진다. 물위에 바람이 부니 흩어짐이다. 물은 가루나 혼돈, 무질서이다. 물은 자체적으로 흩어지는 성질이 있는데 바람이 분다. 낙엽은 물이다. 군중도 물이다. 낙엽위에 부는 바람, 폭풍을 피하는 군중이 풍수환(風水渙)이다. 환(渙)은 흩어짐이다. 바람이 구름을 흩어버린다. 마음속의 조바심을 털어버린다. 마음을 비워둔다. 집착은 자신을 지켜주지만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도 생긴다. 갈등도 그때그때 풀어야한다. 기억하는 것보다 잊는 것이 좋을 수도 있..
-
[스크랩] 58) 태위택 (兌爲澤) = 중택태(重澤兌)주역 2018. 12. 16. 15:38
58) 태위택 (兌爲澤) = 중택태(重澤兌) 위도 못[澤]이고, 아래도 못[澤]이다. 태(兌)는 ‘즐거움’ ‘온화한 분위기’를 뜻한다. 연못에 있는 물은 낮은 곳으로 흐르며 대지에 있는 모든 만물에게 골고루 물을 나누어준다. 베푸는 곳에서 기쁨을 느낄 수 있다. 연못위의 연못은 높은 곳의 물이니 위험할 수도 있다. 항상 자제력을 기르고 정도를 넘지 않아야한다. 연못아래 연못은 처음부터 신중하다. 군자의 태도 같지만 위축되면 옳지 못하다. 지키는 일만이 능사가 아니다. 파격적인 일도 해야한다. 변하지 않으면 부패한다.
-
[스크랩] 56) 화산려 (火山旅)주역 2018. 12. 16. 15:37
56) 화산려 (火山旅) 위 는 불[火]이고, 아래는 산[山]이다. 여(旅)는 ‘여행’ ‘집과 고향을 떠나 낯선 곳으로 가는 것’ ‘방황하는 나그네’를 뜻한다. 태양이 산에서 떠서 산으로 지는 것은 나그네의 여정과 같으므로 여(旅)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산위에 불이 났다. 산위에 새가 날아간다. 집을 떠나 돌아다닌다. 꺼져가는 불, 서산에 지는 태양으로 정처없는 여행이다. 그래서 평생 이사 다니고, 직업의 안정성이 없고, 가정 정착을 못하고 이혼하고, 돌아다닌다. 여행객, 거지, 행상이나 탐험가 또는 이민, 관광, 돌아다니는 직업에 적합하다. 나그네의 떠남이니 아주 색다른 곳에 도달한다. 수택절(水澤節)과 괘상이 반대로 수택절이 연못에 물이 갇혀있어 압박을 받거나 장식품이 보이지 않게 숨겨있는 형상이라..
-
[스크랩] 55) 뇌화풍 (雷火豊)주역 2018. 12. 16. 15:37
55) 뇌화풍 (雷火豊) 위는 천둥 우레[雷]이고, 아래는 불[火]이다. 풍(豊)은 ‘풍성하다.’라는 뜻이다. 천둥 우레가 치고 비가 내린 후 햇볕이 밝게 빛나는 모습이다. 만물이 성장하여 풍성한 결실을 맺는다는 뜻에서 풍(豊)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뭉쳐있는 불을 더욱 보호하는 상(象)이다. 눈덩이가 구르며 커지고 있다. 위암 환자의 점을 쳐서 뇌화풍(雷火豊)이 나왔다면 덩어리가 커진다는 의미이니 암환자에게는 가장 나쁜 괘상이다. 몸이 아픈 사람이 뇌화풍(雷火豊)을 얻으면 살이 찐다. 괘상의 뜻을 먼저 알고 다음 점치는 사람의 관점을 분명히 해야한다. 오르는 화(火)가 우레를 만났다. 진괘(震卦)는 누르는 힘이 강하다. 그러나 결국 이괘(離卦)가 승리한다.
-
[스크랩] 54) 뇌택귀매 (雷澤歸妹)주역 2018. 12. 16. 15:36
54) 뇌택귀매 (雷澤歸妹) 위 는 천둥 우레[雷]고, 아래는 못[澤]이다. 귀매(歸妹)는 ‘정상적이지 못한 결혼’이라는 뜻이다. 멀리가지 못한 누이가 돌아온다는 뜻이다. 위는 나이든 남자를 상징하는 진괘(震卦)고, 아래는 어린 여자를 상징하는 태괘(兌卦)다. 젊은 여자가 음란한 소질이 있어 중년 남자와 만나니 정상적이지 못하다는 뜻에서 귀매(歸妹)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뇌택귀매 (雷澤歸妹)는 상하 대칭이다. 집을 떠나기 위해 나섰지만 머뭇거리는 모습이다. 시집가는 여인의 모습이다. 미련이 남아있다. 진괘(震卦)는 최소한의 양(陽)이니 상승력이 약하고 태괘(兌卦)는 최소한의 음(陰)이다. 우레가 연못위에 있다. 연못은 보금자리이고 우레는 새(bird)이다. 새가 보금자리 둥지를 맴돈다. 하늘에 있어야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