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
-
[스크랩] 53) 풍산점 (風山漸)주역 2018. 12. 16. 15:36
53) 풍산점 (風山漸) 위는 바람[風]이고, 아래는 산[山]이다. 점(漸)은 ‘점점’ ‘점차로 나아지는 것’을 뜻한다. 산 위에 따뜻한 바람이 불어오면 점차로 만물이 깨어난다. 점차로 나아간다는 뜻의 점(漸)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음(陰)이 상괘로 진출하여 동력이 생겼고 양(陽)도 하괘(下卦)에 있어 움직임이 크다. 음(陰)과 양(陽)이 상하 대칭이다. 상하가 교류하는 것이다. 점차 점진적으로 발전하니 ‘점점, 차츰’이라는 점(漸)이다. 산 위에 바람이 분다. 산 위의 나무이다. 바람으로 인해 변화가 일어난다. 점(漸)은 산 위에서 나무가 점차 자란다는 뜻이다. 움직이지 않는 것이 바람에 의해 단계적으로 변화해 가는 것이다. 정지된 산(山) 그리고 움직이는 바람의 만남은 서로 이질적인 만남이지만 서로..
-
[스크랩] 52) 간위산 (艮爲山) = 중산간(重山艮)주역 2018. 12. 16. 15:36
52) 간위산 (艮爲山) = 중산간(重山艮) 위도 산[山]이고, 아래도 산[山]이다. 산이 첩첩이 있으니 산(山)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간괘(艮卦)는 하나의 양(陽)이 두 음(陰) 위에 머무르고 있는 상(象)이다. 산은 움직이지 않고 그곳에 있으므로 ‘머무르다.’라는 뜻이다. 산위의 산이다. 산은 높아야하니 높은 산보다 더 좋은 곳은 없다. 높은 산을 오를 때는 계획을 확실히 해야 한다. 산 밑의 산은 가장 낮다. 높아야할 산이 낮은 곳에 있으니 실력있는 자가 낮은 곳에 있는 모습이다. 실력은 곧 드러나는 법이다. 낮은 지위라도 수용해야한다. 참고 견디면 제 몫이돌아온다.
-
[스크랩] 50) 화풍정 (火風鼎)주역 2018. 12. 16. 15:35
50) 화풍정 (火風鼎) 위 는 불[火]이고, 아래는 바람[風]이다. 정(鼎)은 ‘발이 셋인 솥’ ‘안정감’을 뜻한다. 불 밑에 바람이 불고 있는 상(象)이니 음식을 만들기 위해 아궁이에 불을 지피는 모습이다. 음식을 만드는 솥을 뜻하는 정(鼎)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손괘(巽卦)는 부드럽게 주무른다는 뜻이다. 쓰다듬고 지나가는 것이다. 공부도 머리를 부드럽고 유(柔)하게 하는 것이다. 불 밑에 바람이 분다. 꽃이 바람에 휘날린다. 한 송이 꽃이 바람에 의해 수정된다. 결실이다. 솥 위의 음식이 익는다. 완성된다. 무르익었다. 음식을 익히고 있다. 학교에서 공부한다. 정신이 무르익는다. 바람을 불에 공급해 단단한 것을 주무른다. 활짝 핀 한 송이 꽃이다. 완성되었다. 사물의 종말이다. 더 욕심은 안된다...
-
[스크랩] 49) 택화혁 (澤火革)주역 2018. 12. 16. 15:35
49) 택화혁 (澤火革) 위 는 못[澤]이고, 아래는 불[火]이다. 혁(革)은 ‘바꾸다.’ ‘혁신하다.’ ‘혁명’의 뜻이다. 연못아래 불이 있다. 물이 끊어 증발하면 큰 변화를 하므로 혁(革)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혁(革)은 짐승 가죽이다. 가죽의 털을 벗기면 전혀 다른 것으로 변하기 때문에 ‘혁명’이라는 의미가 있다. 그릇 속의 불이니 밝음이 갇혀있는 모습이다. 폭발지경이다. 인재가 묻혀있고 자유롭게 활동할 사람이 억압되어있다. 과보호 또는 구속이다. 안에서 끓어오른다. 폭발하려는 압박 있다. 죄 없는 사람이 탈출하려한다. 힘에 겨운 비밀을 유지하고 있다. 오래 가지 못한다. 힘에 겨운 것을 간신히 막고 있다. 혁명을 예고한다. 택화혁(澤火革)은 혁명, 개혁, 혁신, 격변이다. 불이 연못 속에 있다...
-
[스크랩] 48) 수풍정 (水風井)주역 2018. 12. 16. 15:34
48) 수풍정 (水風井) 위 는 물[水]이고, 아래는 바람[風]이다. 정(井)은 ‘우물’. ‘두레박’을 뜻한다. 물 밑으로 바람이 흐르니 바람이 깊은 곳까지 통하는 모습이니, 우물을 뜻하는 정(井)을 괘(卦) 이름으로 하였다. 바람 부는 위의 물로 끊임없이 안개로 날린다. 물이 바람에 날리는 것이다. 구름 밑의 바람이니 구름이 모여 물이 점점 쌓인다. 구름이 바람에 실려 이동한다. 접시위에 물과 같아 보호받지 못하고 흩어진다. 흩어지며 물을 공급하는 것이다. 접시위의 음식도 사람이 먹는다. 나무에 물을 공급하여 키우는 모습이다. 활동적인 자리에 있는 사람으로서 실력이 없으면 그 자리에 있을 수 없다. 물처럼 날아간다. 바람에 실려가는 구름이다. 물 밑에 바람이 부니 땅을 통과하여 물이 솟아난다. 물속에 ..
-
[스크랩] 47) 택수곤 (澤水困)주역 2018. 12. 16. 15:34
47) 택수곤 (澤水困) 위 는 못[澤]이고, 아래는 물[水]이다. 곤(困)은 ‘부족하다.’ ‘곤궁하다.’ ‘괴롭다.’ ‘통하지 않는다.’라는 뜻이다. 연못 아래에 있는 물이 빠지는 모습이다. 물이 부족하면 만물은 곤궁에 처하게 되므로, 곤(困)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큰 그릇에 제멋대로인 물이 조금 담겨있다. 큰 집에 가두어진 모습이다. 감옥이다. 어른이 감괘(坎卦)여서 제멋대로이면 큰 집에 보호해야한다. 연못 밑에 물이 조금 있다. 그릇 속에 물이 채워져 있지 않는 모양이다. 채워지지 않은 공간이 있다. 너무 큰 옷을 입었던가, 위에 비해 밥의 양이 적어 배가 고프던가, 마음속이 텅 비었던가 내용에 비해 격식이 지나치던가, 껍질만 보기 좋게 치장했던가, 동작만 그럴 듯하고 내용은 빈약하다든가 이다. ..
-
[스크랩] 46) 지풍승 (地風升)주역 2018. 12. 16. 15:34
46) 지풍승 (地風升) 위는 땅[地]이고, 아래는 바람[風]이다. 승(升)은 ‘위로 상승하다.’ ‘올라가다.’ ‘번성하다.’라는 뜻이다. 땅 밑에 있는 바람이 위로 상승하고 있으니 상승한다는 뜻의 승(升)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좋은 땅이란 살아있는 땅으로 땅도 숨을 쉬어야한다. 지풍승(地風升)이다. 땅에 활기를 공급한다. 땅속에 씨앗의 모습이다. 이 씨앗이 땅속에 활기 새바람을 일으키는 것이다. 도시가 도로 소통이 잘되는 것도 지풍승(地風升)이다. 햇볕이 잘 드는 땅도 그렇다. 땅에 변화 소통이 일어나는 것이다. 노인만 적적한 곳에 손자 손녀가 오는 것도 지풍승(地風升)이다. 태양은 이괘(離卦)이지만 태양의 빛으로 생기를 뜻할 때는 손괘(巽卦)이다. 공기와 햇볕이 잘 들어오는 창문도 지풍승(地風升)이..